닫기

로그인

즐겨찾기추가

논문검색

pISSN: 1975-7697

한국학교지역보건교육학회, Vol.26 no.1 (2025)
pp.19~29

DOI : 10.35133/kssche.20250228.002

- 학기 중 청소년의 이어폰 사용에 대한 연구 -

정은자

(영남외국어대학 간호학과 조교수)

이유미

(부경대학교 간호학과 부교수)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을 대상으로 청력에 관한 지식, 이어폰 사용 실태와 태도를 확인하고, 이어폰 사용 실태와 태도에 따른 청력 지식의 차이를 분석하는 것이다. 방법: 본 연구는 서술적 조사연구로 연구 대상은 G시에 위치한 2곳의 인문계 고등학교 2곳의 1, 2학년 학생 이었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SPSS 27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연구대상자의 93.2%가 개인 음향기기를 사용하고 있으며, 청력 지식의 평균 점수는 3.67±1.06이었다. 인터넷 강의시 이어폰을 사용하는 경우는 92.4%이고, 이어폰을 처음 사용한 시기는 중학생 40.2%, 초등학생 39.1%이다. 청력에 대한 지식은 도서관이나 독서실에서 사용하는 경우(p=.002)와 사용시 음량을 작게하는 경우 (p=.027)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결론: 본 연구는 청소년들의 이어폰 사용 실태를 확인한 연구로 의미가 있다. 추후 이어폰 사용장소, 음량, 청력 건강에 관한 정보 등을 포함한 청력 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을 제시한다.

A Study on Adolescent Earphone Use During the Semester

Eunja Jung

Yumi Lee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ssess the hearing knowledge, earphone usage patterns, and attitudes toward earphone use among adolescents, and to analyze the differences in hearing knowledge based on earphone usage patterns and attitudes. Methods: This study employed a descriptive research design, with participants consisting of first- and second-year students from two general high schools in G Cit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version 27 statistical software. Results: A total of 93.2% reported using personal audio devices, and the average hearing knowledge score was 3.67±1.06. Among the participants, 92.4% used earphones during online lectures, and the first use of earphones occurred during middle school for 40.2% and elementary school for 39.1%. Hearing knowledge was significantly higher when earphones were used in places such as libraries or study rooms (p=.002) and when the volume was lowered during use (p=.027). Conclusions: This study provides meaningful insights into adolescents' earphone usage patterns. It suggests the need for the development of hearing programs that include education on earphone usage locations, volume control, and hearing health.

다운로드 리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