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로그인

즐겨찾기추가

논문검색

pISSN: 1975-7697

한국학교지역보건교육학회, Vol.21 no.3 (2020)
pp.21~34

DOI : 10.35133/kssche.20201130.002

- 학교내 응급상황에 대한 준비 실태와 보건교사의 응급처치 수행자신감 -

김지연

(숭덕초등학교 보건교사)

정인숙

(부산대학교 간호대학 교수)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학교 내 응급상황(천식 위기, 알레르기 반응, 저혈당 위기, 발작, 심폐정지, 출혈/골절, 머리/목 상해, 열성질환, 중독, 질식)에 대한 행정 차원과 물품구비 차원에서의 준비 실태, 그리고 응급처치 수행자신감을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방법: 단면조사연구로 274명의 보건교사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자가보고형 조사지를 이용하여 대상 자와 학교의 일반적 특성, 학교 내 응급상황에 대한 행정ㆍ물품 준비 실태, 그리고, 응급처치 수행자신 감 등 3개 영역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수집은 2018년 2월 1일부터 2018년 7월 31일까지 실시하였 고, 자료분석은 기술통계, t-검정과 분산분석을 이용하였다. 결과: 대부분의 학교에서 응급상황 관리계획이 있었으나, 응급상황별로 천식 위기는 46.7%, 알레르기 반응은 58.4%에서만 관리계획을 갖추고 있었다. 산소, 혈당측정기, 자동제세동기, 경추고정장치 등은 85% 이상의 학교에서 보유하고 있었으나, 기관확장제 흡입기, 에피네프린 주사제, 흡인기 등은 거의 갖 추고 있지 않았다. 응급상황 수행자신감은 5점 만점에 2.67점 (발작관리) 에서 3.55점 (심폐정지관리)이 었으며, 일부 응급상황에 대해서 의료기관 근무경력이 증가함에 따라 수행자신감이 증가하였다. 결론: 대부분의 학교에서 응급관리계획을 수립하고 있었으나, 응급상황별 관리계획을 수립한 경우는 반 정도에 불과하였다. 보건교사의 학교 내 응급상황에 대한 응급처치 수행자신감은 전체적으로 낮게 나타남에 따라, 이들의 역량강화를 위한 체계적인 교육과 멘토링 프로그램이 요구된다.

Preparation and Self-Confidence to Response to Emergent, Acute or Life-threatening Health Crisis among School Nurses in South Korea

Ji-yeon Kim

Ihn Sook Jeong

Background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preparation and self-confidence of school nurses to respond to emergent, acute or life-threatening health crises in individual students (asthma, anaphylaxis, diabetic crisis, seizures, cardiopulmonary failure, bleeding/fracture, and head/neck injury) in South Korea. Methods: This cross-sectional survey was done with 274 school nurses. Data was collected with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with nurse’s and school’s characteristics, preparation and self confidence in responding to the health crises from February 1, 2018 to July 31, 2018.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Results: Most schools had response plan to the health crises in general, but 46.7% to 58.4% schools had the health crisis-specific plan. Equipment for the health crisis such as oxygen glucose monitoring device,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and cervical spine collar were available over 85% of the schools. However, bronchodilator delivery device, epinephrine auto-injector, and suction device showed limited availability. The self confidence in responding to the health crises ranged from 2.67 (managing seizure) to 3.55 (performing CPR) on a 5-point scale, and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y working years at hospitals for some health crises. Conclusions: Though schools have well established plan to response the health crises, the plan should be specific to each health crisis. As there was low self-confidence in responding to the health crises among school nurses, active interventions including systematic training and mentoring programs are recommended.

다운로드 리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