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학교지역보건교육학회, Vol.26 no.2 (2025)
pp.39~55
- 효과적인 신종감염병 감시 및 대응 전략 연구 -
목적: 본 연구는 COVID-19 팬데믹을 통해 확인된 국내외 감염병 감시체계의 한계와 문제 점을 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효과적인 국외 감염병 감시 및 대응 전략을 제시하는 것을 목 적으로 한다. 방법: 본 연구는 문헌고찰을 통해 주요국의 감염병 감시체계 운영 사례를 분석하고, 감염병 감시 및 대응 분야 전문가 15명을 대상으로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국외감염병 감시체계 구축의 필요성, 핵심 전략, 운영 방안에 대한 전문가 의견을 수렴하고, 정책적 방향 성을 도출하였다. 결과: COVID-19 대응 과정에서 국외 발생 감염병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ㆍ분석하는 기능 의 부재가 국내 대응의 한계로 작용하였음이 확인되었다. 주요 선진국은 AI 기반 오픈소스 감 시와 국제협력 네트워크를 적극 활용하고 있었으나, 한국은 초기 대응 및 정보 수집 체계가 미흡하였다. 전문가들은 질병관리청 산하 독립형 감염병정보 수집 및 분석 기관을 설치하여 WHO EIOS 및 CDC GDD 등과의 데이터 연계하고 다학제 전문 인력 확보하는 등 AI 기반 정 보 분석 시스템 도입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결론: 국외 감염병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하고 분석할 수 있는 국가 감염병 관리 확보가 시급하며, 이를 통해 신종감염병의 조기경보 및 국가 보건안보를 강화할 수 있다. 향후 감염병 감시 및 대응 기관은 국제기구와의 협력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구축되어야 하며, 전문 인력 양 성과 법ㆍ제도 정비가 병행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신종감염병 대응을 위한 한국형 감시체계 고도화에 실질적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
Study on Effective Surveillance and Response Strategies for Emerging Infectious Diseases
Objectives: This study analyzes the limitations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infectious disease surveillance systems identified during the COVID-19 pandemic. This study aims to logically present the necessity of establishing a Korean model of an Overseas Infectious Disease Information Center by analyzing the cases of major international organizations and advanced countries, such as WHO’s EIOS, the U.S. CDC’s GDD, the European ECDC, and Germany’s RKI. This research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enhancing rapid surveillance and response capabilities at the national level and strengthening international cooperation. Methods: A comprehensive literature review and a Delphi survey involving 11 infectious disease experts were conducted to assess the current surveillance systems and develop recommendations for improving Korea’s surveillance and response strategies. Results: Findings revealed significant gaps in real-time overseas infectious disease information collection and analysis, contributing to delayed responses during the initial phase of COVID-19 in Korea. Advanced nations have successfully implemented AI-based surveillance and international collaboration, highlighting the necessity for Korea to adopt similar systems. Experts emphasized establishing an independent information center under KDCA, linking real-time data with WHO EIOS and CDC GDD, employing multidisciplinary experts, and integrating AI-driven systems. Conclusion: Establishing an independent Overseas Infectious Disease Information Center capable of real-time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is critical for enhancing Korea’s infectious disease surveillance and early response capabilities. This requires robust international cooperation, specialized workforce training, and legislative support, which this study recommends as foundational steps to prepare Korea for future pandemic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