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학교지역보건교육학회, Vol.26 no.2 (2025)
pp.17~37
- 흡연 대학생의 금연의도 영향요인 -
목적: 본 연구는 국내 대학생들의 흡연 관련 특성을 파악하고, 금연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였다. 방법: 본 연구는 일개 지역 대학교에 재학중인 흡연 대학생 203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횡단 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자의 금연의도, 흡연에 대한 지식, 사회적 니코틴 의존도, 금연 자 기효능감을 측정하기 위해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와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연구대상자의 54.2%가 금연 의도를 가지고 있었다.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금연 의 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흡연에 대한 지식(OR = 1.14; 95% CI: 1.02-1.28), 니코틴 의존도 (OR = 0.34; 95% CI: 0.15-0.81), 금연시도 경험(OR = 3.24; 95% CI: 1.38-7.60), 폭음(OR = 0.40; 95% CI: 0.16-0.99)으로 나타났다. 결론: 대학생의 금연 교육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 대학 보건센터와 지역 보건소 간 연계를 구축하고, 금연지원 서비스에 대한 홍보를 강화하여 접근성을 높여야 한다. 또한 온라인 플랫 폼을 활용한 금연교육과 전자담배 사용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제공 및 니코틴 의존도 수준에 따른 맞춤형 금연 중재 전략이 요구된다.
Factors influencing the intention to quit smoking among university students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describe smoking related characteristics among university students in South Korea and identify the factors influencing intention to quit smoking. Methods: A descriptive cross-sectional study was conducted with 203 university students from a university located in an urban area. Data were collected using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measuring intention to quit smoking, knowledge about smoking, social nicotine dependence and smoking cessation self-efficacy.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and logistic regression with SPSS/WIN 25.0. Results: Overall, 54.2% of participants intended to quit smoking. Th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factors influencing smoking cessation intention included knowledge about smoking (OR = 1.14; 95% CI: 1.02-1.28), nicotine dependence (OR = 0.34; 95% CI: 0.15-0.81), previous quit attempts (OR = 3.24; 95% CI: 1.38-7.60), and binge drinking (OR = 0.40; 95% CI: 0.16-0.99). Conclusion: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smoking cessation education among university students, it is essential to establish an integrated support system between university health centers and local public health offices and to strengthen promotional efforts that improve access to cessation services. Additionally, leveraging online platforms, providing accurate information about electronic cigarette use, and offering tailored interventions based on levels of nicotine dependence are important strateg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