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로그인

즐겨찾기추가

논문검색

pISSN: 1975-7697

한국학교지역보건교육학회, Vol.26 no.2 (2025)
pp.1~15

DOI : 10.35133/kssche.20250531.001

- 대학생의 학업스트레스와 자기효능감이 대학적응력에 미치는 영향 -

진민경

(동명대학교 상담ㆍ임상심리학과 박사과정)

김민정

(동명대학교 상담ㆍ임상심리학과 조교수)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학업스트레스, 자기효능감 및 대학적응력 간의 관계를 탐 색하는 것이다. 방법: 본 연구는 4년제 대학에 재학중인 218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설문조사 를 실시하였다. 분석은 SPSS 25.0과 PROCESS Macro v4.2를 활용하여 상관관계 및 매개효과 를 분석하였다. 결과: 연구결과는 첫째, 학업스트레스는 대학적응력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 다. 둘째, 대학생의 학업스트레스가 대학적응력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효능감은 매개적 역할 을 하였다. 결론: 이러한 결과는 대학생의 어떤 대학적응력에 있어서 학업스트레스가 대학적응력에 미 치는 영향에 있어 자기효능감의 중요성을 확인하였고, 이에 따라 대학은 다양한 프로그램 등 을 통해 학생들의 자기효능감을 체계적으로 지원할 필요가 있다.

The effect of academic stress and self-efficacy on college adjustment

Jin, Min-Kyoung

Kim, Min-Jung

Objective: The study aims to investigate how academic stress, self-efficacy, and college adjustment are interrelated among university students. Methods: This study conducted a self-reported survey of 218 university students enrolled in a four-year university. The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SPSS 25.0 and PROCESS Macro v4.2 to examine correlations and mediation effects. Result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cademic stress was found to have a negative effect on college adjustment. Second, in the effect of academic stress on college adjustment among university students, self-efficacy played a mediating role. Conclusions: These results confirmed the importance of self-efficacy in the influence of academic stress on some aspects of college adjustment among university students, and accordingly, universities need to systematically support students’ self-efficacy through various programs.

다운로드 리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