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로그인

즐겨찾기추가

논문검색

pISSN: 1975-7697

한국학교지역보건교육학회, Vol.26 no.1 (2025)
pp.49~60

DOI : 10.35133/kssche.20250228.004

- 한국학교・지역보건교육학회지 2000년~2023년 성인 대상 연구 특징 및 동향 -

김명성

(국립암센터 국제암대학원 대학교 암관리학과)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2000년부터 2023년까지 한국학교・지역보건교육학회지에 게재된 성인 대상 주제와 관련한 논문의 연구 동향 및 특징을 파악하여, 향후 본 학술지의 학술적 발전 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방법: 2000년부터 2023년까지 게재된 성인 대상 논문을 전수 조사하여 구체적 대상, 연구 주제, 연구 설계, 자료수집 방법, 키워드 분석, 연도별 분류한 관련 논문 총 87편을 분석하였다. 결과: KCI 등재 학술지 등록 기준 407건의 논문 중 성인을 주제로 게재된 논문은 총 87건이었고, 대상자 성별은 남녀가 65편(74.7%)로 가장 많았다. 연구 주제는 비감염성질환 예방 관리(22.9%), 연구 디자인은 양적 단면 연구 (86편), 연구자료 수집 방법은 직접조사 방식(54%)이 가장 많았다. 2000년부터 10년 주기별 비교 결과 2000년 대비 2020년대에서 연평균 논문 게재 수가(6.5편) 증가, 여성 대상자 논문 수 감소, 연구 주제는 정신질환 관련 논문 수 증가, 2차 자료수집 방식 증가 경향의 특징을 가졌다. 연구의 주요 키워드는 “교사”, “건강”, “우울”, “교육” 관련이 많았다. 결론: 1999년 한국학교・지역보건교육학회지는 학령기를 중점으로 연구논문이 시작되어 전 생애주기를 대상 으로 논문의 범위가 확장되면서 양적인 확대와 함께 우리나라 보건교육 분야에 크게 이바지하였다. 앞으로도 본 학술지가 국내 보건분야에서 연구 진흥과 함께 기여도를 높이기 위해서 논문 심사의 질적 향상과 함께 보건 학 분야의 사회적 수요에 부합하는 주제의 논문이 게재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고려하여야 할 것이다.

Research for trends and characterization i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School & Community Health Education on life-cycle categories from 2000 to 2023 - Based on the adult population -

Myeong Seong Kim

Background &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identify research trends and characteristics of papers related to adult topics published in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School and Community Health Education from 2000 to 2023, and to seek the direction of academic development of this journal in the future. Method: A total of 87 related papers were analyzed by categorizing specific subjects, research topics, research designs, data collection methods, keywords, and years of publication from 2000 to 2023. Results: Of the 407 papers registered in KCI-listed journals, a total of 87 papers were published on adult topics, and the subjects were mostly male and female (65 papers, 74.7%). The research topic was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non-communicable diseases (22.9%), the research design was quantitative cross-sectional research (86 papers), and the research data collection method was direct survey (54%). The results of the 10-year cycle comparison from 2000 showed that the average number of papers published per year (6.5) increased in the 2020s compared to 2000, the number of papers targeting women decreased, the number of papers related to mental illness increased, and the number of secondary data collection methods increased. The main keywords of the research were “teachers,” “health,” “depression,” and “education.” Conclusion: In 1999,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School and Community Health Education began with research papers focusing on school-age children, and as the scope of papers expanded to cover the entire life cycle, it contributed greatly to the field of health education in Korea along with quantitative expansion. In the future, in order for this journal to promote research in the domestic health field and increase its contribution, it should also consider improving the quality of paper review and ensuring that papers on topics that meet the social needs of the health sciences field are published.

다운로드 리스트